구약성경/창세기 Genesis

창세기 20장 강해 주석 - 아브라함과 아비멜렉

비블로 2025. 3. 17. 18:28
반응형

창세기 20장 강해 주석 - 아브라함과 아비멜렉

목차

  1. 창세기 20장 개요
  2. 본문 주석 – 아브라함의 두 번째 거짓말
  3. 구약적 해석
  4. 신약적 해석
  5. 교회사적 해석
  6. 오늘날 이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7. 관련 찬송가 추천

1. 창세기 20장 개요

반응형

창세기 20장은 아브라함이 그랄 왕 아비멜렉 앞에서 사라를 누이라고 속이는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애굽에서 했던 실수를 반복한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아비멜렉을 막아 사라를 건드리지 못하게 하시고, 아브라함을 보호하십니다. 이 사건은 인간의 연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가 역사하심을 보여줍니다.

2. 본문 주석 – 아브라함의 두 번째 거짓말

히브리어 원문 분석

  • '아비멜렉' (אֲבִימֶלֶךְ) – ‘내 아버지는 왕’이라는 뜻으로, 그랄 왕의 칭호입니다.
  • '에로힘' (אֱלֹהִים) – ‘하나님’이라는 뜻으로, 하나님께서 직접 아비멜렉에게 나타나 경고하십니다.
  • '나비' (נָבִיא) – ‘선지자’라는 뜻으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선지자로 인정하시는 장면에서 사용됩니다.

아비멜렉의 반응과 하나님의 개입

아비멜렉은 하나님께서 나타나 경고하시자 즉시 순종합니다. 하나님은 그의 의로운 행동을 인정하시며, 사라를 보호하십니다.

3. 구약적 해석

아브라함의 실수와 하나님의 보호

아브라함은 자신의 두려움 때문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만, 하나님은 여전히 그를 보호하시고 약속을 이루어 가십니다.

이방 왕 아비멜렉의 의로움

아비멜렉은 하나님의 경고를 듣고 회개하며, 아브라함보다 더 신실한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방인도 사용하신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4. 신약적 해석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연약함

신약에서도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연약함을 사용하시며, 우리의 실패 속에서도 역사하십니다. **로마서 8:28**은 이를 잘 보여줍니다.

아브라함과 예수 그리스도의 차이

아브라함은 거짓말을 했지만, 예수님은 진리이시며 **요한복음 14:6**에서 진리의 본체로 나타나십니다.

5. 교회사적 해석

초대교회 교부들의 해석

  •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브라함의 실수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난다고 보았습니다.

종교개혁자들의 해석

  • 루터는 인간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약속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현대 신학에서의 해석

  • 현대 신학에서는 아비멜렉의 의로움을 조명하며, 하나님의 정의가 특정 민족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6. 오늘날 이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는 때때로 연약하여 실수를 하지만, 하나님은 여전히 신실하시며 우리를 보호하시고 인도하십니다. 또한, 하나님은 이방인도 사용하셔서 자신의 뜻을 이루어 가십니다.

7. 관련 찬송가 추천

🎵 찬송가 310장 – "아 하나님의 은혜로"
🔴 관련 찬송가 듣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