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출애굽기 Exodus

출애굽기 2장 강해 주석 - 모세의 탄생과 도피

비블로 2025. 3. 25. 12:23
반응형

출애굽기 2장 강해 주석 - 모세의 탄생과 도피

목차

  1. 출애굽기 2장 개요
  2. 본문 주석 – 모세의 출생과 도피
  3. 구약적 해석
  4. 신약적 해석
  5. 교회사적 해석
  6. 오늘날 이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7. 관련 찬송가 추천

1. 출애굽기 2장 개요

반응형

출애굽기 2장은 모세의 출생과 그가 미디안으로 도피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바로의 명령으로 히브리 남자아기들이 죽임을 당하는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모세를 보호하십니다. 이후 모세는 애굽 왕자를 살해한 사건으로 인해 미디안으로 도망가게 되며, 그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목차출애굽기 1장 개요본문 주석 – 이스라엘의 번성과 바로의 압제히브리어 원문 분석바로의 두려움과 탄압구약적 해석하나님의 약속과 이스

a.pantaworld.com

 

2. 본문 주석 – 모세의 출생과 도피

히브리어 원문 분석

  • '테바' (תֵּבָה) – ‘상자’라는 뜻으로, 모세가 갈대 상자에 담겨 나일강에 띄워진 사건을 나타냄. 이 단어는 노아의 방주(창세기 6:14)와 동일한 단어로 사용됨.
  • '게르' (גֵּר) – ‘이방인, 나그네’라는 뜻으로, 모세가 미디안에서 자신을 이방인으로 표현할 때 사용됨.
  • '모세' (מֹשֶׁה) – ‘건져내다’라는 뜻으로, 바로의 딸이 모세를 물에서 건진 후 붙여준 이름.

모세의 도피와 미디안에서의 삶

  • 모세는 애굽의 왕자로 자랐지만, 동족 히브리인을 위해 행동하다가 애굽인을 살해하고 도망치게 됩니다.
  • 미디안에서 제사장 이드로의 딸 십보라와 결혼하고, 그곳에서 목자로서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목차출애굽기 1장 개요본문 주석 – 이스라엘의 번성과 바로의 압제히브리어 원문 분석바로의 두려움과 탄압구약적 해석하나님의 약속과 이스

a.pantaworld.com

 

3. 구약적 해석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지도자의 준비

  • 하나님은 모세를 갈대 상자를 통해 보호하시고, 바로의 궁정에서 성장하도록 인도하십니다.
  • 모세는 미디안에서 훈련을 받으며,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 준비를 하게 됩니다.

모세의 미디안 생활과 훈련

  • 모세는 미디안에서 40년간 목자로 지내며, 겸손과 인내를 배우게 됩니다.
  • 이는 후에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끄는 사역의 기초가 됩니다.

4. 신약적 해석

모세와 예수님의 탄생 비교

  • 모세와 예수님은 모두 태어날 당시 왕의 박해를 받았으며, 하나님의 보호 속에서 살아남았습니다. (마태복음 2:13-15)
  •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원한 것처럼, 예수님은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셨습니다.

신자의 부르심과 준비

  • 하나님은 신자를 미디안과 같은 훈련의 장소로 보내어 연단하십니다.
  • **고린도후서 3:18**에서 바울은 신자가 점점 하나님의 영광으로 변화된다고 말합니다.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

출애굽기 1장 주석 -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과 압제목차출애굽기 1장 개요본문 주석 – 이스라엘의 번성과 바로의 압제히브리어 원문 분석바로의 두려움과 탄압구약적 해석하나님의 약속과 이스

a.pantaworld.com

 

5. 교회사적 해석

초대교회 교부들의 해석

  • 오리게네스는 모세가 미디안에서 훈련받은 과정이 신자가 영적으로 성숙해지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보았습니다.

종교개혁자들의 해석

  • 루터와 칼빈은 모세의 연단 과정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부르심을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쳤습니다.

현대 신학에서의 해석

  • 현대 신학에서는 하나님의 섭리가 개인의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방식을 강조하며, 신자들이 자신의 인생을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해석합니다.

6. 오늘날 이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고, 어려운 환경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기다리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또한, 모세처럼 하나님께 쓰임받기 위해 영적 훈련의 시간을 소중히 여겨야 합니다.

7. 관련 찬송가 추천

🎵 찬송가 455장 – "주님의 마음을 본받는 자"
🔴 관련 찬송가 듣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