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출애굽기 Exodus

출애굽기 34장 강해 주석 - 언약의 갱신과 하나님의 자비

비블로 2025. 4. 3. 06:15
반응형

출애굽기 34장 강해 주석 - 언약의 갱신과 하나님의 자비

목차

  1. 출애굽기 34장 개요
  2. 본문 주석 – 두 번째 돌판과 하나님의 자기 계시
  3. 구약적 해석
  4. 신약적 해석
  5. 교회사적 해석
  6. 오늘날 이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7. 관련 찬송가 추천

1. 출애굽기 34장 개요

반응형

출애굽기 34장은 금송아지 사건 이후 하나님께서 언약을 다시 세우시는 장면을 기록합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다시 두 돌판을 만들게 하시고, 그에게 자신의 이름을 선포하시며 자비롭고 은혜로우신 하나님으로 나타나십니다. 이 장은 회복과 소망의 메시지입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출애굽기 12장 주석 - 유월절과 이스라엘의 출애굽

 

출애굽기 12장 주석 - 유월절과 이스라엘의 출애굽

출애굽기 12장 주석 - 유월절과 이스라엘의 출애굽 📍 설교 자료 다운로드 👉 📍 성경 구절 PPT 다운로드 👉 목차출애굽기 12장 개요본문 주석 – 유월절과 첫째 아들의 죽음히브리어 원문 분석

a.pantaworld.com

창세기 12장 주석 - 아브라함의 부르심과 하나님의 언약

 

창세기 12장 주석 - 아브라함의 부르심과 하나님의 언약

창세기 12장 주석 - 아브라함의 부르심과 하나님의 언약 📍 설교 자료 다운로드 👉 📍 성경 구절 PPT 다운로드 👉 목차창세기 12장 개요본문 주석 – 아브라함의 부르심히브리어 원문 분석하나

a.pantaworld.com

창세기 8장 주석 - 홍수 이후의 회복과 하나님의 언약

 

창세기 8장 주석 - 홍수 이후의 회복과 하나님의 언약

창세기 8장 주석 - 홍수 이후의 회복과 하나님의 언약 📍 설교 자료 다운로드 👉 📍 성경 구절 PPT 다운로드 👉 목차창세기 8장 개요본문 주석 – 홍수의 끝과 새로운 시작히브리어 원문 분석방

a.pantaworld.com

 

2. 본문 주석 – 두 번째 돌판과 하나님의 자기 계시

히브리어 원문 분석

  • 'רוּם חֶסֶד' (라후움 헤세드) – ‘자비롭고 인자한’, 하나님의 성품 묘사.
  • 'אֱמֶת' (에메트) – ‘진리’, 변하지 않는 신실함.
  • 'קָרַן עוֹר' (카란 오르) – ‘빛나다’, 모세의 얼굴에 광채가 나는 표현.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자비롭고 은혜로우신 하나님

  • 하나님은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34:6)**으로 자신을 계시하십니다.
  • 이는 구약 전체에서 하나님의 성품을 요약하는 핵심 구절 중 하나로, 이후 여러 곳에서 반복 인용됩니다(시편 103:8, 나훔 1:3).

3. 구약적 해석

언약의 갱신과 백성의 회복

  • 첫 번째 언약이 깨어졌지만, 하나님은 다시 언약을 세우십니다. 이는 회복의 하나님, 은혜의 하나님을 보여줍니다.
  • 백성은 이방 신들과 언약하지 말고, 여호와만 섬기라는 경고를 다시 받습니다.

모세의 얼굴에서 빛난 하나님의 영광

  • 모세는 하나님의 영광을 본 후 얼굴에서 광채가 났으며, 사람들은 그 앞에 나아가기를 두려워했습니다.
  • 이는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가 인간을 변화시키는 증거입니다.

📍 관련 사이트 모음 바로가기 👉

4. 신약적 해석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 예수님은 하나님의 영광을 가장 완전하게 나타내신 분으로,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요한복음 1:14).
  • 그는 율법이 아니라 은혜와 진리로 오신 분입니다.

성령을 통해 드러나는 신자의 변화

  • 바울은 고린도후서 3장에서 모세의 광채와 성도의 변화된 얼굴을 비교하며, 성령으로 말미암은 점점 더 영광에 이르는 변화를 말합니다.
  • 고린도후서 3:18 – “우리는 모두 수건을 벗은 얼굴로 주의 영광을 보며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되어...”

📍 설교 자료 다운로드 👉

5. 교회사적 해석

초대교회 교부들의 해석

  • 이레네우스는 모세의 광채를 하나님의 계시를 받은 자의 정체성으로 보고, 그리스도인의 삶도 영적 광채를 드러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종교개혁자들의 해석

  • 루터는 율법이 깨어졌음에도 다시 말씀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에 집중했으며, 칼빈은 하나님의 자비와 언약의 신실함을 강조했습니다.

현대 신학에서의 해석

  • 현대 신학은 이 장을 회복과 용서의 신학, 하나님의 자기 계시, 말씀의 영속성에 대한 근거로 이해하며, 하나님의 은혜가 율법보다 앞선다는 복음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6. 오늘날 이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는 넘어졌을지라도, 하나님은 다시 시작하게 하시는 은혜의 하나님이심을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한 사람은 변화된 삶으로 그 빛을 드러냅니다. 우리도 모세처럼 하나님의 영광을 갈망하며, 주의 말씀에 붙들린 삶을 살아야 합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7. 관련 찬송가 추천

🎵 찬송가 429장 – "세상 모두 사랑 없어"
🔴 관련 찬송가 듣기

 

📍 고화질 찬송가 악보 다운로드 👉

 

반응형